[new] [인문] 중세국어의 資料와 표기법 / 중세국어의 資料와 표기법과 목 명 지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29 17:05
본문
Download : 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.hwp
특히 한글이 창제된 바로 직후에 나온 문헌자료(資料)는 한글자료(資料)가 적은 편이기 때문에 한두 개의 어휘밖에 포함하지 않은 한글 문헌 자료(資料)라 하더라도 소중히 다루지 않을 수 없다. 여기에서는 15세기와 16세기의 중세 국어 시기에 간행되어 나온 한글 문헌 자료(資料)를 시기별로 나누어 각 문헌자료(資料)에 대한 설명부분을 정리(arrangement)하였다. . 세종조의 한글 문헌자료(資料)) 훈민정음 ① 세종대왕이 한글 창제하고 반포한 해설서로 세종 28년(1446년)에 초간본 간행 ② 세종의 서문 · 예의와 집현전 학사들의 해례 ,정인지의 서문의 구성된 1책의 목판본) 용비어천가 ① 조선 왕조의 개국을 칭송하는 국문가사와 한문 주석으로 구성( 10권 5책) ② 세종 29년(1447년) 간행되었으며 한글이 창제된 후 처음으로 간행된 문헌 ③ 125장의 국문가사는 국어국문학의 연구 자료(資料)가 되고 한문 주해 속 한글표기는 어휘자료(資料)로 활용됨 ) 석보상절 ① 소헌왕후의 명으로 수양대군이 만든 석가모니의 전기, 한...
![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-1168_01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904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C%A4%91%EC%84%B8%EA%B5%AD%EC%96%B4%EC%9D%98%20%EC%9E%90%EB%A3%8C%EC%99%80%20%ED%91%9C%EA%B8%B0%EB%B2%95-1168_01.gif)
![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-1168_02_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904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C%A4%91%EC%84%B8%EA%B5%AD%EC%96%B4%EC%9D%98%20%EC%9E%90%EB%A3%8C%EC%99%80%20%ED%91%9C%EA%B8%B0%EB%B2%95-1168_02_.gif)
![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-1168_03_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904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C%A4%91%EC%84%B8%EA%B5%AD%EC%96%B4%EC%9D%98%20%EC%9E%90%EB%A3%8C%EC%99%80%20%ED%91%9C%EA%B8%B0%EB%B2%95-1168_03_.gif)
![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-1168_04_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904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C%A4%91%EC%84%B8%EA%B5%AD%EC%96%B4%EC%9D%98%20%EC%9E%90%EB%A3%8C%EC%99%80%20%ED%91%9C%EA%B8%B0%EB%B2%95-1168_04_.gif)
![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-1168_05_.gif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0904/%5B%EC%9D%B8%EB%AC%B8%5D%20%EC%A4%91%EC%84%B8%EA%B5%AD%EC%96%B4%EC%9D%98%20%EC%9E%90%EB%A3%8C%EC%99%80%20%ED%91%9C%EA%B8%B0%EB%B2%95-1168_05_.gif)
인문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/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과 목 명 지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[인문] 중세국어의 資料와 표기법 / 중세국어의 資料와 표기법과 목 명 지
중세국어의 資料와 표기법 과 목 명 지도교수 전 공 학 번 이 름 ◎ ...
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과 목 명 지도교수 전 공 학 번 이 름 ◎ ...
설명
순서
Download : [인문] 중세국어의 자료와 표기법.hwp( 35 )
다.
중세국어의 자료(資料)와 표기법 과 목 명 지도교수 전 공 학 번 이 름 ◎ 중세국어 자료(資料) ◎ 15세기와 16세기의 중세 국어 단계에 간행되어 나온 한글 문헌자료(資料)를 대상으로 정리(arrangement)하였으며 여기서 말하는 한글 문헌 자료(資料)란 원래부터 한글로써만 만들어진 자료(資料), 한문을 바탕으로 한문 원문을 한글로써 번역한 자료(資料), 한자와 한글을 섞어 쓴 자료(資料) 이든 한글이 들어 있는 자료(資料)는 다 한글 문헌 자료(資料)라고 한다.